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

(5)
이더리움 계정(Ethereum Accounts) 이더리움 계정은 이더리움에 트랜잭션을 보낼 수 있는 이더(ETH) 잔고를 갖고 있는 실체이다. 계정은 사용자가 제어하거나 스마트 컨트랙트로 배포될 수 있다. 계정 유형 이더리움에는 두 가지 유형의 계정이 있다. - 외부 소유 계정(Externally-owned account, EOA): 개인키를 가진 사람이 관리하는 계정 - 컨트랙트 계정(Contract account, CA): 코드로 제어되는 네트워크에 배포된 스마트컨트랙트 계정 두 계정 모두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 ETH와 토큰을 받고, 보유하고, 보낼 수 있다. -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주요 차이점 Externally-owned account - 계정을 생성하는데 비용이 들지 않는다. - 트랜잭션을 발생시킬 ..
WEB2와 WEB3 Web2는 오늘날 우리 대부분이 알고 있는 인터넷 버전을 말합니다. 개인 데이터를 교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에 의해 지배되는 인터넷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의 맥락에서 Web3는 블록체인 상에서 실행되는 분산형 앱을 말합니다. 개인의 데이터로 수익을 창출하지 않고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앱입니다. WEB3 이점 많은 Web3 개발자들은 이더리움의 고유한 분산화 특징 때문에 dapp을 구축하기로 선택했습니다: - 네트워크에 있는 누구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습니다. 즉 다시 말해, 권한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 아무도 누군가를 차단하거나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거부할 수 없습니다. - 기본 토근인 이더(ETH)를 통해서 지불이 이루어집니다. - 이더리움은 튜링 완전하므로 거의 모든..
디앱(댑, Dapp) 분산형 애플리케이션(dapp)은 스마트 컨트랙트와 프론트엔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결합한 분산형 네트워크 상에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이더리움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는 오픈 API처럼 접근 가능하고 투명하여 다른 사람이 작성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디앱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디앱의 정의 디앱은 분산된 P2P 네트워크 상에서 실행되는 백엔드 코드가 존재합니다. 이를 백엔드 코드가 중앙의 서버에서 돌아가는 앱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디앱은 백엔드를 호출하기 위해 어떤 언어로(앱과 마찬가지로) 작성된 프론트엔드 코드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디앱의 프론트엔드는 IPFS와 같은 분산형 스토리지에서 호스팅 될 수 있습니다. - 탈중앙화(Decentrailized): 디앱은 개인이나 그..
이더(Ether) 암호화폐란?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기반 원장으로 보호되는 교환의 수단입니다. 교환 수단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지불로 널리 받아들여지는 모든 것이며, 원장은 거래를 추적하는 데이터 저장소입니다. 블록체인 기술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원장을 관리하기 위해서 믿을 만한 제 3자에 의존하지 않고 원장을 통해 거래를 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최초의 암호화폐는 Satoshi Nakamoto가 만든 비트코인이었습니다. 2009년 비트코인이 공개된 이후 사람들은 다양한 블록체인에서 수 천 개의 암호화폐를 만들었습니다. 이더란? Ether(ETH)는 이더리움 네트워크 상에서 많은 것들에 사용되는 암호화폐입니다. 기본적으로 트랜잭션 수수료에 대해 허용되는 유일한 지불 방법이고, The Merge이후, 메인넷에서 블록을 검증하고 ..
이더리움(Ethereum) 이더리움을 공부하기 위한 자료로 이더리움 백서(white paper), yellow paper 등 다양한 자료가 있습니다. 우선 이더리움 공식 홈페이지의 개발자 문서를 통해 시작하려 합니다. ETHEREUM DEVELOPMENT DOCUMENTATION을 번역하고 관련된 개념들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블록체인이란? 블록체인은 네트워크의 여러 컴퓨터들에서 업데이트되고 공유되는 공용 데이터베이스입니다. "블록"은 "블록들"로 알려진 연속 그룹에 저장되는 데이터 및 상태를 나타냅니다. 만약 다른 사람에게 ETH를 보내는 경우, 성공하려면 트랜잭션 데이터가 블록에 추가되어야 합니다. "체인"은 각 블록이 그들의 상위 부모 블록을 암호화 방식으로 가리킨다는 사실을 나타냅니다. 다시 말해서, 블록들은 서로 연결됩니..